개회사
이청룡
한국광해관리공단
이사장
개회사
이청룡
한국광해관리공단
이사장
이청룡 이사장은 2018년 한국광해관리공단의 이사장으로 부임하였습니다.
광해방지사업 및 지역진흥사업 등 추진을 통해 광산지역의 경제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 경영혁신 및 윤리경영, 사회적책임을 실현하는데 노력을 아끼지 않음으로써 국민으로부터 신뢰와 애정을 받는 공공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축사
이찬희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회장
축사
이찬희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회장
이찬희(Chan Hee Lee)는 공주대학교 교수이며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회장입니다. 공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장과 문화유산대학원장 및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장을 역임하셨습니다. 현재는 국제암석역학회 유적보존위원 및 ICOMOS-ISCS Voting Member로 활동하며 석조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안정성 평가와 보존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축사
김경웅
GIST 국제환경연구소
소장
축사
김경웅
GIST 국제환경연구소
소장
1993년 영국 Imperial College에서 환경지구화학자분야의 박사학위를 받은 이후 토양 및 수계 내에 존재하는 중금속을 처리, 생태계를 복원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인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는 지구화학자로 저명 SCI급 저널에 총 220편의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Scientific Reports를 비롯하여 Environ. Geochem. & Health 등 다수 국제 SCI저널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국제환경연구소 소장으로 먹는 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중력식 막여과 장치를 개발하여 기증하는 등 개발도상국의 안전한 식수 공급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조강연
허은녕
서울대학교
교수
기조강연
허은녕
서울대학교
교수
허은녕 교수는 1996년에 서울대학교에 부임, 자원경제학 및 기술경제학을 교육하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자원경제학회 회장 및 한국혁신학회 회장이며 에너지경제분야 세계최대 학술단체인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Energy Economics(IAEE)의 부회장을 역임하였습니다. 또한 4차산업혁명위원회 스마트시티특위, 녹색성장위원회, 국민경제자문회의 및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습니다.
발표연사
우신구
부산대학교
교수
발표연사
우신구
부산대학교
교수
우신구교수님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박사학위를 했으며, 현재 부산대학교 건축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지역거점대학으로서 지역 도시의 공공공간, 경관, 건축에 대한 실증적인 리서치를 기반으로 도시설계, 마을 및 도시경관, 도시재생 분야의 다양한 계획과 실행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프로젝트로는 <광복로일원 시범가로사업>, <행복한 도시어촌, 청사포만들기>, <역사의 디오라마 전망대>, <부산서구 아미초장 도시재생사업> 에 총괄계획가 혹은 총괄코디네이터로 활동하였습니다.
발표연사
이용규
정성군 도시재생지원센터
센터장
발표연사
이용규
정성군 도시재생지원센터
센터장
이용규 센터장은 폐광지역 및 폐탄광시설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 왔습니다.
또한 폐광지역의 재생을 위한 방안으로 지역고유의 자산을 활용한 지역회생방안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현재 정선군 도시재생지원센터의 센터장으로 근무중에 있으며, 지역의 체계적이고 에측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 주민주도의 도시재생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발표연사
고도인
MIRECO 지역진흥실
실장
발표연사
고도인
MIRECO 지역진흥실
실장
고도인 실장은 도시계획 및 부동산학 박사이며 한국광해관리공단 지역진흥실장입니다.
주요관심 분야는 문화적 도시 재생 사업이며 폐광지역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종합토론 – 좌장
이재우
목원대학교
교수
종합토론 – 좌장
이재우
목원대학교
교수
이재우 교수님은 한양대학교 도시공학 박사를 수료하였으며, 현재는 목원대학교 금융보험부동산학과의 교수로 재임 중에 있습니다.
종합토론 – 토론자
심자광
국토교통부
사무관
종합토론 – 토론자
심자광
국토교통부
사무관
심자광 행정사무관님은 2002년 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하여 항공, 물류, 부동산, 지역개발 등 분야를 두루 거쳤으며 현재 도시재생사업기획단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2017년 뉴딜정책이 도입될 당시 사업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68곳 시범사업 선정을 총괄하였으며, 최근에는 도시재생사업 중 가장 규모가 있는 경제기반형과 혁신지구 사업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도시재생에서 주민 거버넌스 만큼이나 공기업의 참여와 민간의 투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이를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종합토론 – 토론자
황환효
강원도 도시재생과
과장
종합토론 – 토론자
황환효
강원도 도시재생과
과장
황환효(Hwan-hyo, Hwang)는 1980년에 강원도청에 임용되어 건설분야에 전문가로 40년을 근무하였고, 2018년 7월부터 강원도 도지재생과장으로 재직하면서, 강원도내 인구감소와 노령화로 쇠퇴하는 도시를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큰 성과를 내고 있으며 도민의 삶의 질 개선과 소득증대에 부단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종합토론 – 토론자
이재순
호서대학교
교수
종합토론 – 토론자
이재순
호서대학교
교수
이재순(Lee Jae Soon)은 강원도 정선 출신으로 서울시립대학교에서 도시행정학 박사를 취득하고 호서대학교 벤처경영학과에 재직하고 있습니다. 관심분야는 도시재생, 도시마케팅, 주거복지 등이며, 특히 폐광지역재생과 주민의 삶의 질 제고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대표연구로는 Housing Quality Evaluation and Housing Choice Using PIF,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종전부동산 매각과 지자체활용방안, 입지규제최소구역에서의 공공기여 산정방안 등이 있습니다.
종합토론 – 토론자
추용욱
강원도 도시재생지원센터
센터장
종합토론 – 토론자
추용욱
강원도 도시재생지원센터
센터장
강원연구원에서 도시계획 및 도시설계, 도시재생, 경관, 디자인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강원도 도시재생지원센터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강원도 내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정책, 교육, 홍보 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빈집, 유휴공간 및 시설, 한옥 등에 관심을 갖고 이러한 자원들이 지역활성화 및 재생을 위한 매개체가 되기 위한 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종합토론 – 토론자
권상동
태백시 도시재생지원센터
센터장
종합토론 – 토론자
권상동
태백시 도시재생지원센터
센터장
태백시 도시재생지원센터 및 태백혁신센터의 책임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마을만들기전국네트워크 및 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의 책임자로 일했고 현재는 사단법인 우리마을의 대표로도 활동 중입니다. 인터넷기반의 프로그램 개발 회사를 운영하다, 비영리조직으로 활동영역을 옮긴 후 “IT활용, 마을, 자치, 사회연대경제, 농업농촌, 도시재생” 등의 영역에서 20여년간 활동하고 있습니다.
지역사회가 함께 만드는 지속가능한 개발 분야에 집중하여 활동 중입니다.
종합토론 – 토론자
김창완
강원랜드 사회공헌실
실장
종합토론 – 토론자
김창완
강원랜드 사회공헌실
실장
20대 후반에는 탄광 광부로, 30대는 지역사회복지 및 지역운동 활동가로, 40대 부터는 강원랜드 직원으로 살아오면서 폐광과 폐광지역법 탄생 등 탄광촌의 애환을 삶의 한 부분으로 여기며 여전히 잘 버텨내고 있습니다. 강원랜드 사회공헌 위원회 사무국장을 시작으로, 지역협력실장, 중독관리센터 사무국장, 사회공헌실장 등 CSR 직무를 맡았으며, 현재는 사회가치실현실장으로 재직하는 중입니다. 최근에는 혁신 기반의 사회가치 창출사업으로의 전환을 깊게 고민하고 있으며, 최근 관심 있는 주제는 도시재생, 아소카펠로우, 유니콘 기업유치 등인데 현실화하는 과정이 쉽지 않음을 뼈저리게 느끼고 있습니다.
발표연사
윤진호
GIST 국제환경연구소
교수
발표연사
윤진호
GIST 국제환경연구소
교수
윤진호 교수는 2016년 3월부터 GIST 지구.환경공학부 기후분석모델링 실험실을 이끌고 있으며, 특이기상, 이상기후 현상에 대한 원인분석, 향후 전망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6차 평가보고서에 주저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다양한 국제협력을 하고 있습니다. 석사/박사학위는 아이오와 주립대학에서 취득하였으며 이 후 메릴랜드주립대학, 미국 대기해양국 기후예측센터, PNNL 등에서 재직하였습니다.
발표연사
권이균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교수
발표연사
권이균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교수
권이균 교수는 퇴적학 및 층서학 분야의 전문가로 석유지질 및 탄소포집저장 분야에서 연구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비전통형 석유가스개발 연구와 이산화탄소 저장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공주대학교에서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연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퇴적분지의 형성과 관련된 지질학적 연구도 중요한 연구 주제로 설정하고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발표연사
김수로
MIRECO 광해방지연구실
차장
발표연사
김수로
MIRECO 광해방지연구실
차장
김수로 차장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광해관리공단에서 기술개발을 담당하는 기술사입니다. 2008년 한국광해관리공단에 입사하여, 주로 지반침하방지 실용화 기술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회사의 이름을 브랜드화 한 지하공동 측정 기술인 MIRECO EYE를 개발하였고, 정부로부터 신기술(NET) 인증을 받았습니다. 이제 MIRECO EYE는 광업을 넘어 도로 싱크홀 조사, 국가어항시설 조사, 지하시설물 조사, 군 안보 목적로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MIRECO EYE는 2019년 올해의 안전제품상 대상을 수상하여 그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김수로 차장은 한국의 광해방지 기술자로서, 지질 및 지반전문가로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발표연사
박영준
GIST 국제환경연구소
교수
발표연사
박영준
GIST 국제환경연구소
교수
박영준 교수는 2009년 KAIST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컬럼비아 대학에서 이산화탄소 처리 기술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이후 SK이노베이션 R&D 센터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석탄촉매가스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2015년부터 GIST 지구환경공학부에서 교수로 재직 중에 있습니다. 현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시멘트/철강/석탄발전 부산물 등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저장 및 활용하기 위한 고체 탄산화 연구를 수행 중에 있습니다.
발표연사
조성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박사
발표연사
조성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박사
조성준 센터장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탐사개발 연구센터장이며 광물자원탐사 및 개발, 광물자원 프로젝트 평가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자원공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한국자원공학회,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 이사를 재임하고 있습니다.
발표연사
배준호
한라대학교
교수
발표연사
배준호
한라대학교
교수
배준호 교수는 원주 한라대학교 관광경영학과에 재직중입니다. 현재 교육부에서 지원하는 LINC+사업 부단장으로 활동중이며, 관광 관련 논문도 다수 저술하였습니다. 또한 호텔·관광트렌드 전문가로써 강원도 관광에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발표연사
현근우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과장
발표연사
현근우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과장
현근우(Geun-Woo Hyun)는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대기공학과의 과장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오염도검사와 관련 분야의 책임자로서, 피톤치드 연구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강원도는 82%가 산림으로 이뤄져 있는데, 숲에서 방출되는 힐링물질인 모노테르펜(피톤치드)의 농도분포가 기상 요소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 강원지방기상청 등 관련 기관과 지속적인 협업 연구를 했습니다. 2019년에는 기상관계식과 모델링을 이용해, 전국 피톤치드 발생량 정보를 MAP으로 만들어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좌장
문용린
인간개발연구원
회장
패널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
패널
강태선
㈜비와이엔블랙야크
회장
패널
민남규
자강산업
회장
청년패널
김수진
(사)우리들의미래
클라이밋 스카우트
청년패널
김수진
(사)우리들의미래
클라이밋 스카우트
김수진은 제주대학교 언론홍보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2020 Climate Scouts와 제주 청년원탁회의 환경분과 청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이 지속가능하고 살만한 삶을 살아가는 미래를 꿈꾸고 있습니다. 기후변화가 사회적 불평등을 강화시키는 요인이자 해결할 수 있는 핵심요인이라는 것을 깨닫고, 많은 사람들과 함께 한 걸음을 내딛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친환경 소비의 역설을 지적하며 친환경적 행동의 핵심을 공유하는 것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청년패널
김수현
(사)우리들의미래
클라이밋 스카우트
청년패널
김수현
(사)우리들의미래
클라이밋 스카우트
김수현은 고려대학교 국제학부 재학 중으로 국제관계학, 지속가능발전, 그리고 인권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후변화와 환경 교육에도 관심을 가지고 Climate Scouts 5기로 활동하며 인식 제고 교육 및 캠페인을 펼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발전을 이루기 위한 청년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먼저 책임감 있는 청년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청년패널
박소영
(사)우리들의미래
클라이밋 스카우트
청년패널
박소영
(사)우리들의미래
클라이밋 스카우트
박소영(SO YOUNG PARK)은 강원대학교 환경융합학부 에코환경과학전공의 학부생으로 재학중이며, 현재 (사)우리들의 미래 Climate Scouts 5기로 기후위기의 심각성과 산림을 통한 개선 공고를 목표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현재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인지하는 것부터가 극복의 시발점이라고 생각하여, 기후위기 개선을 위한 생활에서의 실천을 강조하는 카드뉴스 제작 활동을 해왔습니다. 기후변화를 넘어 기후위기 시대에 탄소흡수원으로의 산림은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였고, 기후위기시대의 산림의 가치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기고문을 투고했습니다. 최근에는 육지에서보다 기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해양생태계의 보존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청년패널
강예리
(사)우리들의미래
클라이밋 스카우트
청년패널
강예리
(사)우리들의미래
클라이밋 스카우트
강예리(Yeri Kang) 청년 패널은 UNIST(울산과학기술원) 환경과학공학, 재난관리공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으로, 현재 (사)우리들의 미래 Climate Scouts 5기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UNFCCC COP25(유엔기후변화협약 제25차 당사국 총회)에 ‘Party Overflow’의 자격으로 참관한 경험이 있으며, 이후에도 기후위기의 심각성과 시급성을 알리고 변화를 일으키는 데에 청년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해결책 중 최신의 이용 가능한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탄소 중립 사회로 변화하는 일에 관심을 두고 배워나가고 있습니다.
청년패널
조준현
(사)강원국제회의센터
강원MICE 서포터즈
청년패널
한수연
(사)강원국제회의센터
강원MICE 서포터즈
연사
조세 난디카라
다아매럼 비뎌 크쉬트램 크리스트 대학교
교수
연사
조세 난디카라
다아매럼 비뎌 크쉬트램 크리스트 대학교
교수
조세 난디카라 교수는 현재 인도 뱅걸로에 있는 다아매럼 비뎌 크쉬트램 크리스트 대학교의 철학과 교수이며 Web of Science A&HCI(예술 인문 분야)에 등재된 Journal of Dharma 의 편집장입니다. 비트겐슈타인 이후의 인간됨: 철학적 인류학: 윤리적 인터페이스: 문학, 경제, 정치, 종교라는 책을 저술하고 편집하였습니다. 또한 다수의 국내외 학술지에 20편의 연구기사를 게재하고 편집본을 편집했습니다.
연사
머기사 카바
아디스아바바대학교
교수
연사
머기사 카바
아디스아바바대학교
교수
Mirgissa Kaba, PhD는 Addis Ababa University의 공공보건대학 부교수로서, 사회 및 행동 건강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문화 역학 연구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는 그의 일상적인 교육, 연구, 사회 봉사 외에도, SCIE, SSCI (과학 및 사회과학 분야)에 등재된 Ethiopian Journal of Health Development 의 편집장입니다.
연사
료 다카하시
센다이 대학교
교수
연사
료 다카하시
센다이 대학교
교수
료 다카하시는 AUSN 임상교수이며, 센다이 대학 노인학 교수 입니다. 그는 일본 후쿠시마의 노인센터 소장이며 Joutsu 교육대학 MA를 취득했고 미국 유타대학교 대학원 박사, 도쿄 메세이 대학에서 PhD 를 받았습니다.
기조발제
고재경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기조발제
고재경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주요 관심 분야는 기후변화․에너지 정책, 거버넌스, 지속가능발전이며, 녹색성장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주요 논문으로는 “공동체 에너지 시민참여와 확산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재생에너지 협동조합을 중심으로”(2019), ”주택 에너지효율 개선 사례 연구”(2018), “지방자치단체 기후변화 적응 거버넌스 변화 연구”(2017) 등이 있습니다.
기조발제
오수길
전국협의회 정책위
부위원장
기조발제
오수길
전국협의회 정책위
부위원장
오수길(Soogil Oh)은 고려사이버대학교 창의공학부 교수이자 도시지속가능성연구소 소장이며,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정책자문위원, 경기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 정책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발전 거버넌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지방화를 위해 일하고 있으며, 현재 종로구, 강북구, 부평구 등에서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환경행정학>, <로컬 거버넌스의 성공모델>, <우리의 지속가능한 도시>, <한국의 협력적 거버넌스> 등의 저술이 있고, <세계 지속가능발전 도시>, <네트워크 정부>, <지속가능성의 도전>, <지속가능성 혁명> 등의 책을 번역했습니다.
기조발제
전만식
강원연구원
기획경영실장
기조발제
전만식
강원연구원
기획경영실장
전만식 연구원은 강원연구원에 재직하고 있으며, 수자원정책, 물환경관리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농경지로부터의 흙탕물 발생문제, 생물자원의 보전과 이용, 물부족 대책, 저수지의 친환경이용 등의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였습니다. 이외에도 물 관련 제도, 관리체계 등에 대한 분석과 개선방안은 국내 물환경 정책의 변화에 많은 공헌을 하였습니다. 현재에는 수자원과 관련한 상하류간의 형평성 있는 관리, 이용, 배분 등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사례발표
오용석
대구지속협의회
사무처장
사례발표
박은재
전북지속협의회
사무처장
사례발표
박종아
수원지속협의회
사무국장
사례발표
박종아
수원지속협의회
사무국장
박종아 사무국장은 1986년 이후 한국의 민주주의, 산업구조조정, 비시장적 영역의 복지기제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하였으며 2000년대에는 주로 마을현장의 환경과 공동체 활동에 직접 뛰어 들어 지역운동에 매진하였습니다. 주로 지역먹거리, 물, 에너지운동을 펼쳐왔으며 지속가능발전협의회에 근무하면서 지속가능발전 그 자체와 거버넌스와 실천주체들의 연결 플랫폼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사례발표
제현수
원주지속협의회
사무국장
연사
전흥우
강원민주재단
기록사업위원장
연사
전흥우
강원민주재단
기록사업위원장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주간신문 <춘천사람들> 편집인 겸 편집국장을 역임했으며, 2020년 초부터 강원민주재단 기록사업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사례발표
이원영
민주시민교육강원네트워크
간사
사례발표
이원영
민주시민교육강원네트워크
간사
이원영(YI WONYOUNG)은 현재 춘천YMCA 부사무총장 및 강원민주시민교육네트워크 사무국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청소년지도자로 청소년의 참여와 권리보장을 통한 시민성 향상을 위해 현장에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선거연수원 초빙교수로서 다양한 계층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민주시민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사례발표
윤요왕
춘천주민자치지원센터
센터장
사례발표
윤요왕
춘천주민자치지원센터
센터장
재단법인 춘천시마을자치지원센터에서 상임이사(센터장)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마을공동체 활성화와 주민자치를 통해 시민주권을 실현하는 도시를 꿈꾸고 있습니다. 과거 천주교인권위원회, 원주교구정의평화위원회 등 인권, 환경, 정의 관련 활동가로서 살았고, 춘천의 작은 농촌 마을로 귀농하여 농부로서의 삶을 살았습니다. '한 마을이 세상을 구한다'라는 말처럼 스스로 주체가 되어 서로를 살리는 마을을 만드는 일에 힘을 쏟았습니다. 사.협)춘천별빛 대표를 맡아 마을학교, 노인복지, 사회적 경제, 협동조합 등을 통해 마을을 행복한 마을공동체로 전환시키는 노력을 오래도록 해 왔습니다.
사례발표
이서영
강원도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
장학관
사례발표
이서영
강원도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
장학관
현재, 강원도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 민주시민교육 장학관으로 강원도 학생들의 시민성 함양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에 힘쓰고 있습니다. 17년간 교사로서 중등학교에서 학생들의 역사교육을 담당하였으며, 교육전문직(연구사, 장학사)으로 전직하여 학생들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 8년 6개월간 행정을 지원하였습니다. 교감으로 전직하여 2년 6개월 간 실력을 갖춘 전인적인 학생을 키워내기 위해 학교 교육과정과 학생생활교육 운영 지원하였습니다.
사례발표
천남수
강원도민일보 강원사회연구소
소장
사례발표
천남수
강원도민일보 강원사회연구소
소장
사례발표
하광윤
강원민주재단 민주시민교육위원회
위원장
사례발표
하광윤
강원민주재단 민주시민교육위원회
위원장
20대 30대를 통해 민주화운동과 진보정당운동에 몸담았으며 현재 강원민주재단의 민주시민교육위원장을 맡고 있습니다.